신경병성 통증(Neuropathic Pain)은 단순한 근육통이나 관절통과는 전혀 다릅니다.
신경이 손상되거나 압박을 받으면서 비정상적인 신호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은 찌릿하거나 화끈거리고, 때로는 타는 듯한 느낌으로 표현됩니다. 단순히 '아프다'는 말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통증입니다.
이러한 신경병성 통증은 당뇨병, 대상포진 후유증, 디스크 탈출, 외상 후 신경손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약물치료만으로 조절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물리치료적 접근, 특히 수기치료와 전기치료(TENS)의 병합이 효과적인 관리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신경병성 통증의 원인과 주요 증상
신경병성 통증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 : 고혈당으로 인해 말초신경이 손상
- 대상포진 후 신경통 : 바이러스에 의해 신경이 손상되고, 이후에도 통증 지속
- 척추 디스크 탈출증 : 신경근이 눌리며 통증 및 감각 이상 발생
- 외상 후 신경손상 : 수술, 골절, 충격 드으로 인해 신경 기능 저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찌릿찌릿함 또는 화끈거림
- 타는 듯한 통증
- 감각 저하 또는 과민 반응
- 저림, 감각 둔화, 밤에 심해지는 통증
이러한 통증은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며, 적절한 치료 없이는 만성화될 위험이 높습니다.
수기치료(Manual Therapy)의 역할과 실제 적용법
물리치료사의 수기치료는 신경병성 통증 조절에 있어 비약물적 접근으로서 매우 중요한 중재 방법입니다. 다음은 실제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법들입니다.
1. 신경가동화 운동 (Neurodynamic Techniques)
- 원리 : 말초신경이 주변 조직과 유착되디 않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
- 적용 대상 : 요추 디스크 환자, 경추 신경근병증 환자 등
- 효과 : 신경 주변 염증 완화, 유착 해소 >> 통증 완화
* 대표적인 신경가동화 치료 방법
: 신경가동화는 '슬라이더(Slider)'와 '텐셔너(Tensioner)'라는 두 가지 테크닉으로 나뉩니다.
1) 슬라이더(Sliders) - 유착이 의심될 때 사용
- 목적 : 신경을 길이 변화 없이 앞뒤로 움직이는 것
- 방법 : 한 쪽 관절을 굽히면서 다른 쪽은 편다 >> 신경이 양쪽에서 '미끄러지듯' 움직이게 함
- 예시
>> 좌골신경(Sciatic nerve) : 한쪽 다리를 들어올리는 동시에 발목을 굽힘 > 반대로 다리를 내리면서 발목은 젖힘
(= SLR Test를 응용한 Sciatic nerve glide 방법)
- 특징 : 신경에 큰 스트레스를 주지 않아서 초기 통증 조절에 유리
2) 텐셔너(Tensioners) - 민감성이 낮아졌을 때 사용
- 목적 : 신경에 적당한 장력을 주는 것
- 방법 : 양쪽 관절을 동시에 신전 또는 굴곡하여 신경에 장력을 부여함
- 예시
>> 척골신경(Ulnar nerve) : 어깨 외전, 손목 신전, 손가락 외전 등으로 점진적 장력 가하기
- 특징 : 유착 해소, 신경 재활 단계에서 적극적인 적용
2. 연부조직 이완 (Soft Tissue Mobilization)
- 대상 조직 : 근막, 근육, 신경 주변 조직
- 기법 : 횡마찰 마사지, 트리거포인트(통증점) 압박, 가벼운 스트레칭, 근막이완술 등
- 효과 : 통증 역치 상승, 혈류 개선, 조직 회복 촉진
* 적용팁
- 치료 시간 : 부위별 5~10분 정도가 적당
- 압력 강도 : 환자의 반응을 보며 조절 (통증 유발 없이 깊은 압)
- 보조도구 사용 가능 : 마사지 볼, 폼롤러, IASTM 도구 등
3. 관절 가동술 (Joint Mobilization)
- 적용 부위 : 척추, 골반, 어깨, 무릎 등
- 기법 : 등급별(Grade 1~4) 적용으로 관절의 가동범위 개선
- 특징 : 신경근 압박으로 인한 통증을 구조적으로 해결
* 관절가동술(Joint Mobilization)은 관절의 움직임을 개선하고 통증을 줄이기 위해 물리치료사가 손을 이용해 관절의 특정 방향으로 부드럽게 움직이는 수동 기법입니다.
일반적으로 관절면의 생역학적 특성에 따라 등급(Grade 1~4)으로 나뉘며, 낮은 등급은 통증 완화를 높은 등급은 관절의 가동범위 증가를 목적으로 합니다.
이 기법은 특히 관절 유착, 강직, 신경근 압박 등으로 인한 움직임 제한과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며, 다른 치료법과 병행 시 재활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전기치료(TENS)의 원리와 적용법
TENS는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r Stimulation의 약자로, 피부 위에 전극을 부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비침습적이며 부작용이 거의 없어, 신경병성 통증 환자에게도 매우 유용합니다.
* 작용 기전
- 게이트 조절 이론(Gate Control Theory) : 통증 신호가 척수에서 차단됨
- 엔도르핀 유도 : 내인성 진통 물질인 엔도르핀, 엔케팔린 분비 촉진
- 감각신경 둔화 : 과민해진 신경의 전도 속도 감소
* 적용 가이드
- 전극 부착 위치 : 통증 부위 주변 또는 신경 경로 따라 배치
- 자극 강도 : 강하지만 불쾌하지 않게, 가벼운 진동/찌릿한 감각 수준
- 시술 시간 : 20~30분, 하루 1~2회 가능
- 주의사항 : 피부 질환, 심장박동기 착용자, 임산부는 주의
물리치료사는 어떻게 중재할 수 있을까?
물리치료사는 단순한 통증 감소를 넘어서 기능 회복, 움직임의 질 향상, 환자의 자가 관리 능력 강화까지 고려합니다. 따라서 수기치료+전기치료의 병합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집니다.
- 비약물적 중재로 안정성 있는 치료
- 신경기능 회복을 촉진
- 만성화 방지 및 회복 속도 개선
- 치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향상
치료 초기에는 통증 감소 중심, 이후에는 움직임 회복과 근력 강화 프로그램을 병행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마무리 정리
신경병성 통증은 단순한 물리적 손상을 넘는 복합적인 문제입니다. 하지만 수기치료와 TENS 전기치료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물리치료 접근은 환자의 통증을 줄이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전문 물리치료사의 평가와 판단 아래, 환자에게 맞춤형으로 접근할 수 있는 치료 계획을 수립해보세요.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이 치료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입니다.

'신경계재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실조] 운동실조(Ataxia) 재활법 : 체간 안정성과 소근육 훈련 전략 (0) | 2025.04.24 |
---|---|
[뇌졸중] 뇌출혈 vs 뇌경색 : 재활 속도와 운동치료 차이점은? (0) | 2025.04.22 |
[어깨 탈구] 후 마비 증상... 상완신경총 손상, 증상부터 재활 핵심 꿀팁 총정리 (0) | 2025.04.21 |
[요양등급] 받을 수 있을까? 노인성 질환 종류 & 관리법까지 정리! (0) | 2025.04.16 |
루게릭병 초기증상부터 원인 및 재활 관리법까지 한눈에 정리 (1) | 2025.04.15 |